개발4 [Django] 장고 어드민에서 외래키로 연결되지 않은 테이블을 Inline으로 넣기 장고는 어드민 페이지를 통해 DB와 매핑된 모델들의 리스트, 각각 개체들의 필드 값, 정보들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실무에서는 어드민 페이지를 효과적으로 잘 구성하는 것 또한 서비스의 유지 보수, 데이터 분석, 에러 복구를 위한 중요한 작업입니다. 다대다(ManyToMany), 일대다(Foreignkey)로 연결된 모델 또한 Inline과 같은 방법과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참조가 가능해 관련성 높은 데이터들을 한 번에 보여줄 수 있지만 때로는 모델 상에선 관계가 없지만, 실무에서는 연관되어 자주 쓰이는 데이터를 한 번에 보여줄 필요성이 있을 때가 존재합니다. 오늘은 외래 키로 연결되지 않은, 즉 모델끼리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테이블을 Inline으로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장고에서는, 이.. 2022. 9. 2. [Go] Go 언어 입문기 3개월 간 파이썬과 친하게 지내다 보니,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없었던 것 같다. 현재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부담이 가지 않는 선에서, 새 지식을 습득할 타겟을 물색하던 중, 빠르고 핫하다는 "Go"라는 언어를 한번 찍먹해 보기로 결정! 학습자료는 아래 사이트를 이용했다. 한국말로 번역된 사이트라 간혹 가다가 어색한 번역이 있을 수 있지만, 약간의 구글링과 다져진 공식 문서 스킬 읽기로 충분히 이해가 가능했다. Go를 향한 여행 go-tour-ko.appspot.com 학습한 내용을 노션에 정리해두는 건 필수..! 두고두고 나에게 유용한 지식 창고가 될 것이기 때문에,, GO 기본 문법 orange-tile-2bd.notion.site Go 언어의 특징 + 내가 느낀 소감 매우 간단한 문법, 배우기.. 2022. 6. 8. [Django] Django Cache with Redis 실제 서비스에서의 오류 원인 중 대부분은 과도한 쿼리로 인한 DB 과부하이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, 1. 캐싱 2. DB 쿼리 최적화 얼추 지금 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API 개발을 끝내고, 성능을 어떻게 개선시킬까 고민하던 차에, 먼저 캐싱을 도입하여 성능 개선을 이루어보고자 합니다. 캐싱이란? - 필요한 데이터나 값을 임시 장소(캐시)에 미리 복사해두어, 매번 원래 데이터가 있는 곳까지 접근하지 않고. 임시 장소에 빠르게 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입니다. - API 호출 시에는 쿼리를 이용해 DB에 접근하게 되는데, 캐싱을 이용하면 쿼리를 통해 DB에 접근하는 횟수를 줄여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Django는 보통 Redis라는 저장소와 짝을 이루어 캐시를 많이 사용합.. 2022. 5. 23. CORS 에러 - ‘Access-Control-Allow-Headers’ 관련 오류 [해당 포스트는 Django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] 개발이 잘 된다 싶으면 마주하게 되는 CORS 오류, 매번 봐도 적응이 안 된다. CORS 정책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, 오류 원인, 해결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. - CORS 정책이란?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의 약자로,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매커니즘을 의미합니다. 출처(Origin)이란, https://127.0.0.1:3000/users?id=1과 같은 URL에서, 서버의 위치를 찾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 즉, 프로토콜, 호스트, 포트번호까지인 https://127.0.0.1:3000을 의미합니다. 따라서 CORS 정책이.. 2022. 5. 22. 이전 1 다음 반응형